- 김민석 교수팀, ㈜씨티셀즈와 함께 자가활성이 가능한 NK 세포치료제로 우수한 항암효과를 전임상 실험에서 확인 - NK세포를 활용한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향후 다양한 적용 기대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석 교수팀...
- DGIST 강홍기 교수팀, 미세 잉크젯 프린팅 용액 공정 기반 투명 전극 및 광열 층의 선택적 형성 기술 개발 - 환자 맞춤형 유연 미세 전극 어레이를 통해 생체에서 발생하는 여러 신호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 열...
- DGIST 예경무 교수 연구팀, 최초로 항GFRAL 인간 항체를 통한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암 악액질 개선 효과 검증 - 전 세계적으로 허가받은 치료제가 없는 암 악액질에 대한 치료 후보물질 제시 DGIST(총장 국양...
- DGIST 김민석 교수팀, ㈜씨티셀즈와 공동연구로 희소 세포를 손실 없이 분석 가능한 플랫폼 개발 - 면역세포화학 기술 구현과 동시 높은 세포 보존율 및 재현성 확보 - 결과는 ACS Applied Materials & Interfaces에 게재 ...
- DGIST 양기정·김대환·강진규, 인천대 김준호 공동연구팀, 어드미턴스 분광분석을 이용해 박막태양전지 특성 저하의 원인되는 흡수층 내 결함 에너지 준위 제시 - 박막태양전지의 고효율화를 위한 결함 식별 방법 ...
- DGIST 현정호 교수 연구팀, 특정 신경세포 및 회로와 특정 행동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툴 개발 - 빛을 이용한 신경성 및 정신 질환 치료 개발의 새로운 단초 제시 영화 ‘인셉션’처럼 타인의 기억을...
- 실시간 G 단백질 주기가 세포막 수용체의 2단계 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 규명 -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관련 병리 및 치료법 연구에의 응용 기대 DGIST(총장 국양)는 뇌과학과 서병창 교수 연구팀이 우리 몸 속 스위치...
- DGIST 양지웅·서울대 박정원 공동연구팀,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을 이용하여 2D 반도체 나노입자의 상전이 과정 관찰 및 메커니즘 규명 - 재료과학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‘Advanced Science’에 논문 게재 ...
- 기존 연료전지 탄소 담지체의 한계를 극복할 저온 고흑연성 탄소 소재 합성법 개발 - 향상된 발전 효율과 우수한 안정성으로 차세대 연료전지 자동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 - 환경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‘Applied Catalysi...
- 최홍수 교수팀, 오용석 교수팀, 한국뇌연구원 라종철 책임연구원팀, 생체 외 환경에서 해마 뇌 조직의 목표지점에 마이크로로봇 전달 후 신경망 연결 및 신경신호 측정 - 연구 및 세포치료제 검증과 분석 연구에 큰 역할 기...